2023년 09월 14일
클라우드 서비스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란 인터넷을 통한 구독 기반의 기술로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 필요한 IT 자원을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서 제공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시간 절약
직접 하드웨어 인프라나 서버를 갖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비 비용 절감 및 빠른 출시가 가능하다.
유연한 대응
서비스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자원을 증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비용 절약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한다.
EC2 (Elastic Compute Cloud)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머신 서비스로 AWS의 데이터 센터에서 독립된 서버용 컴퓨터 한대를 임대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AWS가 제공하는 URL(Public DNS)를 통해 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양 옵션을 제공한다. (EC2 인스턴스란 한 대의 컴퓨터를 의미)
Secuirty Group
EC2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가상 방화벽 역할을 한다. 즉 Secuirty Group 설정을 해줘야 EC2 인스턴스에 HTTP와 SSH 접속이 가능하다.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AWS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RDS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서버를 생성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설정하고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서 동시에 비용도 더 저렴하다.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베이스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보다 RDS를 사용하는것이 더 저렴하다.
ELB(Elastic Load Balancing)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이다. 등록된 여러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면서 상태가 양호한 서버로만 트래픽을 라우팅(HTTP 요청 분산)하여 서버가 죽지 않도록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Route 53
AWS의 DNS 서비스이다.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상태 확인 등 도메인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CloudFront
AWS의 CDN 서비스이다. 전 세계에 엣지 서버를 두고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요청 시 가까운 엣지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추가적인 기능으로 HTTP로의 접속을 HTTPS로 리다이렉션 시켜주는 기능도 제공한다.